반응형

2025/09 13

사위질빵의 민간요법

사위질빵은 우리나라 들과 산기슭에서 흔히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키버들풀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지방마다 사위질빵, 사위질풀, 사위방망이 등으로 불리며, 전통적으로 약재로 쓰였다. 덩굴과 잎에는 혈액 순환을 돕고 뭉친 피(瘀血)를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멍이 든 곳이나 타박상 치료에 쓰였다고 전해진다.줄기와 잎을 찧어 붙이면 관절통, 근육통을 가라앉고 달여 마시면 열을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여 부종(浮腫)을 줄이는 데 활용되었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뱀이나 벌에 물렸을 때 즙을 내어 바르거나, 상처에 붙여 독을 뺀다고 믿기도 했다. 민간에서는 줄기와 잎을 찧어서 천에 싸고, 타박상이나 삔 곳에 붙이거나 사위질빵 줄기·잎을 달여서 관절염이나 부종 환자가 복용했으며 벌에 쏘였을 때..

카테고리 없음 2025.09.23

지혈, 설사 개선에 쥐눈이 풀

쥐눈이풀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자라는 풀인데, 예부터 민간요법에 많이 활용되어 왔다.학명은 Geranium thunbergii (현초, 쥐눈이풀)로 불리며, 한방에서는 현초(玄草)라는 약재명으로도 쓰였다. 쥐눈이 풀은 피를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어 상처, 코피, 혈변 등에 활용되었으며 수렴 작용이 강해 급성 장염, 이질, 만성 설사에 민간에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피부 염증이나 종기, 옴 같은 가려움증에 달여 바르거나 환부를 씻는 데 활용했으며 위궤양, 위통, 소화불량에 달여 마시는 차 형태로 복용하기도 하였다.최근 연구에서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항산화 작용과 일부 항암 활성이 보고되었다. 민간 요법으로 쥐눈이 풀은 말린 쥐눈이풀을 차로 끓여서 설사·이질 완화, 위장 보호 목적으로 복용하였고 짓찧..

카테고리 없음 2025.09.22

몸이 붓는 증상에 좋은 분꽃

분꽃은 이뇨작용이 있는 식물이다.뿌리와 씨앗에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성분이 있어 부종(몸이 붓는 증상) 완화에 사용되었다.뿌리와 잎을 달여 마시면 열을 내리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다고도 전해진다. 특피 분꽃은 종기, 종창, 독사 물린 데에 외용으로 쓰이기도 했다. 뿌리를 진하게 달여 마시면 완하 작용(변을 부드럽게 함)이 있어 변비 치료에 활용되기도 하였는데 뿌리에 들어 있는 알칼로이드 성분이 세균 억제와 구충(腸內 기생충 제거)에 효과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선조들은 종기나 염증 치료에 분꽃 뿌리를 찧어 환부에 붙이거나 달여 먹어서 피부 종기, 종창에 사용하거나 분꽃 씨앗이나 뿌리를 달여서 차처럼 마셔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요법으로 활용하였다. 분꽃 뿌리를 건조시켜 달여 복용하여 ..

카테고리 없음 2025.09.19

독초인 미국 자리공

자리공은 우리나라 자리공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미국 자리공은 북미가 원산지이고 복성이 강하지만 민간요법으로 다양하게 쓰였던 약초라 할 수 있다, 미국 자리공은 뿌리, 줄기, 열매에 사포닌·알칼로이드·레시틴 등 강한 약성이 있어, 전통적으로 종기, 피부염, 나병 등에 사용되었다.관절염, 류머티즘, 편도선염 등에 외용 혹은 극소량 내복하고 체내 노폐물 제거, 부종 완화한다고 전해진다.뿌리에서 추출한 성분이 면역세포 자극 연구에 활용된 사례도 있다,단, 독성이 강하여 현대 의학에서는 내복을 거의 금하고, 연구용 또는 외용으로 제한된다. 미국과 유럽의 민간요법에서 포크루트(poke root)라 불리며 뿌리를 달여서 소량 복용하거나, 알코올에 담가 외용으로 관절 부위에 문질러 통증 완화에 사용 되었다.뿌리나 잎을..

카테고리 없음 2025.09.18

열을 내리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금화규

본초강목의 저자 이시진은 금화규에 대해 열을 내리고 어혈을 풀며 종기를 낫게 한다고 기록했다,조선 후기 민간요법에는 산모의 회복기에 부스럼 치료에 많이 사용되었다는 기록도 있다,중국 당,송대의 의서에는 피부질환이나 여성 질환에 쓰였다고 전해진다. 주로 말린 꽃을 차로 우려 마셔 감기나 기침, 해열에 사용했고 잎과 뿌리는 삔 곳이나 타박상에 찧어 붙여 통증을 완화했다고 전해진다.특히 부스럼 치료에도 사용되어 어린 순이나 꽃을 찧어 상처부위에 바르곤했다,월경통이나 산후 어혈 제거를 위해 탕약에 섞어 사용했다는 기록도 있다.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는 전통 약제 복원 작업에서 금화규가 포함되었다.주요 약효는 열을 내리는 꽃차로 주목을 받았다.시골에서는 황화꽃차라는 이름으로 기침, ..

카테고리 없음 2025.09.18

어혈에 좋은 맨드라미

맨드라미는 꽃의 생김새가 붉은 피처럼 생겼다고 해서 피를 멎게 한다는 믿음과 함께 실제로 지혈에 많이 쓰였다.생긴 모양은 꼭 닭벼슬 처럼 생겨 계관화라고도 불리우는 식물이다.맨드라미는 약재로 외상 출혈, 대변·소변에 피가 섞여 나올 때, 산후 출혈 등에 사용하였다. 한의학적으로 “혈분(血分)을 맑게 하고 열을 내려준다”고 하여 혈열(血熱)로 인한 증상, 즉 출혈, 피부 발진, 눈 충혈 등에 응용되었다. 또한 간의 열을 내려 시력을 보호한다고 하여, 눈이 충혈되거나 시력이 약해졌을 때 사용하였는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좋아 염증 완화, 종기 치료, 부스럼 등에 쓰였다고 전해진다. 다른 사용방법으로는 설사 멎게 하거나 대하(여성 질 분비물) 개선 등에 활용된 기록도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맨드라미 꽃..

카테고리 없음 2025.09.16

작두콩의 주요 효능

예로부터 작두콩은 기관지염, 천식, 기침, 가래 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크기도 작두만 한 게 일반 콩의 수십 배에 달하는 크기를 자랑하는 콩이다.울타리에 심어 놓으면 잘 번지면서 크는 식물 중에 하나이다, 작투콩은 특히 콩 껍질과 씨앗을 달여 차처럼 마시면 목의 염증과 가래 제거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위장 기능을 보강하고 소화불량, 구토, 설사에 쓰였다.한의학에서는 위장을 따뜻하게 하여 속이 냉한 사람에게 좋다고 기록되어 있고 종기, 부스럼, 염증 완화에 쓰였으며, 독을 풀어주는 약재로도 활용되었다.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해 기력 회복과 원기 보강에 도움을 주며 이뇨작용, 혈액순환 촉진, 치질 완화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예로부터 선조들의 기록과 활용방법을 찾아보면 일단..

카테고리 없음 2025.09.16

지혈, 종기, 피부염에 좋은 괭이밥

옛날에 속이 안 좋아서 시름시름 앓던 고양이가 괭이밥을 뜯어먹고 낫는 것을 보고 '괭이밥'이라는 이름이 생겼다”는 민간 이야기가 있지만 전해져 오는 이야기 일뿐 괭이밥의 정확한 어원의 유래는 알 수 없다.그냥 고양이를 괭이라고 많이 불렀기 때문에 그렇게 지어진 이름 정도로 유추할 수 있다.언듯 보면 토끼풀처럼 생겼지만 자세히 보면 그 생김새가 다르다.처음 보는 사람이라면 토끼풀로 오인할 수 도 있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괭이밥은 짓찧어 즙을 내어 마시거나, 달여서 먹으면 열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전해지는데 특히 종기나 피부에 염증이 있을 때, 짓찧은 잎을 환부에 붙이면 진정 효과가 있다고도 한다.그래서 뱀에 물렸을 때 응급으로 짓찧어 바르기도 했는데 과거에는 지금과 같은 현대 의학이 발전되지 않았..

카테고리 없음 2025.09.16

혈당 조절과 황산화 작용이 탁월한 여주

여주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오래전부터 건강을 위해 활용되어 온 식재료이다.여주에는 인슐린과 유사한 성분이 있어 혈당을 조절하여 당뇨 관리에 좋은 약재로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C나 베타카로틴등 노화와 면역력 강화에 좋다.이는 콜레스트롤 저하와 혈압을 조절하고 칼로리가 낮게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좋기로 유명하다.막상 시장이나 푸드 마켓에서는 좀처럼 볼 수는 없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과학적으로는 암세포 성장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니 여주를 즐겨 먹는 식습관도 건강에 많은 도움이 된다.여주는 본초강목이나 동의보감에도 기록된 약재인데 이 문헌에 의하면 주로 열을 내리고 갈증을 해소하며 이질, 열사병등의 치료에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복용 방법으로는 말린 여주를 차로 즐겨 마..

카테고리 없음 2025.09.15

동의보감에도 기록된 능소화의 효능

서울 고려대 정문을 지나가다 보면 능소화가 이쁘게 담장을 이루며 피어 있는 것을 보았다.우리 집도 능소화를 심었는데 언제 저렇게 풍성하게 자랄지 시간만 기다리는 중이다. 동의보감과 본초강목 등에 기록된 능소화는 혈액순환 촉진하고 어혈(瘀血)을 풀어준다 하였다.여성의 경우 월경 불순·생리통 완화에 효과가 있어 여성 질환 치료에 많이 사용되었다고 한다.또한 항염·진통 작용이 있기 때문에 종기, 피부병, 통증 완화의 치료에도 능소화가 사용되었다. 특히 여성에게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 피부 미용으로 기미나 주근깨 제거, 안색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된다.해열 및 이뇨 작용도 있어 체내 열과 습기 배출을 하는데 효과가 크다 할 수 있다.주로 꽃을 약재로 쓰고, 말린 꽃을 탕약이나 환으로 만들어 복용했다. 직접 “..

카테고리 없음 2025.09.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