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되면 들판과 밭두렁에서 고개를 내미는 달래(Allium monanthum).
알싸하면서도 향긋한 맛 덕분에 ‘봄나물의 여왕’으로 불리며, 흔히 산에서 나는 작은 마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단순히 입맛을 돋우는 나물일 뿐만 아니라, 예로부터 약재로 활용되어 온 소중한 식물이기도 하다.
내가 마늘 다음으로 좋아하는 식물로 텃밭 한구석에 달래를 심어 놓으면 씨앗이 떨어지면서 군락을 형성한다.
한 번만 심어 놓으면 매년 수시로 캐 먹을 수가 있으며 동면이 되는 식물이기 때문에 봄에 새싹이 나면서 달래가 많이 퍼진다.
달래는 캐서 다듬는 것이 번거롭지만 달래 겉절이를 해서 먹으면 쌉쌀한 맛을 즐길 수 있는 아주 좋은 식물이다.
달래는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몸을 따뜻하게 해 주고, 손발이 차가운 사람에게 특히 좋다. 혈액순환이 잘 되면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
특유의 매운맛 성분인 황화알릴(Allyl sulfide)이 위액 분비를 도와 소화를 촉진하고, 더부룩함이나 소화불량을 완화한다.
달래는 몸에 활력을 주고 피로를 풀어주는 강장 효과가 있어, 기력이 떨어진 봄철에 먹으면 원기를 회복하는 데 좋다.
마늘과 비슷한 성분 덕분에 세균을 억제하고 체내 독소를 줄이는 효능이 있으며 환절기 감기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철분과 비타민 C가 함께 들어 있어, 철분 흡수를 도와 빈혈을 예방하는 데 유익하다.
간의 해독 작용을 도와 숙취 해소에도 효과적이라고 전해진다.
달래의 활용 방법
나물무침 : 봄철 달래를 된장이나 고추장에 무쳐 먹으면 입맛도 돋우고 건강에도 좋다.
달래장 : 간장에 송송 썬 달래와 고춧가루, 참기름을 넣으면 어떤 음식에도 잘 어울리는 맛있는 양념장이 된다.
국거리 : 달래된장국, 달래계란국으로 끓이면 향긋한 맛과 함께 피로 회복에도 좋다.
주의할 점
체질에 따라 자극이 될 수 있으므로 위장이 약한 분은 과다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다.
날달래를 너무 많이 먹으면 속이 쓰릴 수 있으니 적당히 드시는 것이 안전하다.
달래는 향긋한 맛으로 봄 입맛을 돋워줄 뿐 아니라, 혈액순환 개선, 소화 촉진, 강장 작용 등 다양한 약효를 지닌 약초이다. 올봄에는 밥상에 달래 한 접시 올려 건강도 챙기고 봄의 향기도 느껴보길 바란다.